현대 디에이치, 푸르지오 써밋, DL이앤씨 아크로, 롯데 르엘

 

부동산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들어봤을 이름들

바로 1군 건설사들의 하이엔드 브랜드입니다





 

 

대형 건설사들은 각자 기존 아파트 브랜드를 유지하면서

최고의 품질과 성능으로 차별화된 주거 공간을 선사한다는 의미를 담은 ‘하이엔드 브랜드’를 론칭해 오고 있습니다

특별함을 담아 각 건설사마다 하이엔드 브랜드 적용 조건을 세워두었습니다

입지나 발전 가치, 주변 시세 등을 고려해서 결정을 합니다

이런 이유로 한강변에 위치한 소위 강남 등 땅값이 비싼 지역에 하이엔드 브랜드 아파트가 많이 건설되어 왔습니다

이는 건설사들이 강남권 재건축, 재개발 수주전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하이엔드 브랜드를 런칭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어찌 됐건 하이엔드 브랜드는 이렇게 성공을 합니다

누구나 살고 싶어 하는, 하지만 누구나 살 수 없는 고급 아파트의 이미지를 남기고..


하지만 시간이 흐른 뒤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로

건설사들의 해외 사업에 차질이 생기자

주요 1군 건설사들은 국내 주택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특히 노후주택이 많아지고 있는 현 국내 부동산 특성상 도시정비 사업의 비중은 날이 갈수록 증가되고

이 과정에서 각 건설사들 간의 수주 경쟁 또한 점입가경에 이르고 있습니다

건설사들은 수주의 성공을 위해 브랜드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이게 됩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건설사들이 내놓은 카드가 바로

하이엔드 아파트 입니다.

DL이앤씨 아크로 드레브372와 롯데건설 르엘

 

 

최근 DL이앤씨가 서울 서대문구 북가좌 6구역 재건축 정비 사업 시공사 선정 입찰에서 신규 브랜드드레브372를 제안했습니다

곧바로 경쟁자인 롯데건설이 하이엔드 브랜드 ‘르엘’을 제안하자

다시 DL이앤씨는 기존에 제안했던 드레브372에 아크로를 추가하여 '아크로 드레브 372'로 맞서게 되었습니다

특히 대치 2지구 등 강남권에만 적용됐던 롯데건설 르엘

서부권에 해당하는 북가좌 6구역에 하이엔드 브랜드를 제시한 것,

DL이앤씨가 강북 지역에서 아크로 브랜드를 붙인 건

한강변에 있는 성수동 '성수 아크로 서울포레스트'에 이어 두 번째입니다

 

부산 해운대구 우동1구역 아크로원 하이드 조감도

 

또한 DL이앤씨는 지난 3월 부산 재건축 정비시장의 대어로 손꼽혀온

해운대구 우동 1구역(삼호가든) 재건축 정비 사업에 비수도권 최초로 ‘아크로’ 브랜드를 제시해 일찍이 경쟁에서 우위를 점했습니다

하이엔드 브랜드가 특별함, 희소성 보다 수주를 위한 경쟁 무기로 바뀌게 된 것이죠


이보다 더 큰 문제는 바로 재개발조합과 건설사 간의 갈등입니다

재건축, 재개발 곳곳에 하이엔드 브랜드를 내세우니

일부 지역 조합에서 무리하게 하이엔드 브랜드를 요구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최근 서울 중구 신당 8구역 재개발조합은 하이엔드 브랜드 '아크로'의 적용 문제로 DL이앤씨와 계약 해지를 결정하였습니다

이뿐만이 아니라 서울 동작구 흑석 9구역 재개발조합 또한 설계변경화 하이엔드 브랜드 적용 문제로 갈등이 지속되자

결국 시공사인 롯데건설과의 해지를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서울 성북구 신월곡 1구역 재개발 조합도 시공사인 롯데건설, 한화건설 컨소시움에 하이엔드 브랜드를 적용해 달라 요청했지만 거절당하자 조합 내부에선 시공사 해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빗발치고 있습니다

상황이 이렇게 흘러가자 내심 미소를 짓는 건설사도 있습니다

삼성물산의 래미안과 GS건설의 자이

 

 

삼성물산과 GS건설은 아예 고급 브랜드를 만들지 않았습니다

GS건설의 경우 별도의 고급 브랜드 없이 '자이' 브랜드로 계속 일원화 하기로 했습니다

일부 단지에 '그랑자이' 라는 이름이 붙긴했으나 '자이'와 별도의 브랜드는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래미안의 경우에도 래미안 뒤에 특색있는 이름을 붙혀 고급화가 파생될뿐 브랜드의 이원화는 아니였습니다

두 건설사 모두 결과적으로 브랜드를 이원화 하지 않은것이 다행이게 된거죠

이러한 움직임은 건설사가 자초한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수주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하이엔드 브랜드를 남발한 탓에

이를 요구하는 지역이 많이 늘어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어 버린 것이죠.


강남권 수주를 위해 만든 하이엔드 브랜드가 점점 탈강남화가 되고 있습니다

꼭 하이엔드 브랜드가 강남에만 있으란 법은 없습니다

건설사 내부 적용 기준에 부합되고 주변 환경이 받쳐준다면 못 지을 것도 없습니다

하지만 이런 기준도 없이 단지 경쟁의 우위로만 쓰인다면 하이엔드 브랜드가 가지는 특별함과 희소성은 점점 잃게 될 것이며 브랜드 가치는 점점 떨어지게 되겠죠

하이엔드 브랜드가 꼭 정답이 아닙니다

일반 브랜드 아파트라도 입지 뛰어나고 조합원들의 노력으로 고급화를 진행시킨다면

충분히 하이엔드에 버금가는 아파트가 될 수 있습니다

과연 누구를 위한 하이엔드 브랜드인지 한번 생각해 볼 문제입니다

+ Recent posts